전기기사
개요
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 경제의 효율성 측면에도 중요합니다. 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·유지·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하여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습니다.
시험내용
실기시험이 필답형이므로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을 참조하여 수험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.
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, 내선규정은 시험일자 기준으로 시험 시행 전 최근 고시된 기준 및 규정으로 수험준비에 임하여야 합니다.
*시험과목
필기 : 1. 전기자기학 2. 전력공학 3. 전기기기 4.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5.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
실기 :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
*검정방법
필기 : 객관식 4지 택일형, 과목당 20문항(과목당 30분)
실기 : 필답형(2시간 30분)
*합격기준
필기 :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,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
실기 :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
수행직무
전기기계기구의 설계, 제작,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, 크기,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, 도면 및 시방서 작성, 점검 및 유지, 시험작동,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. 또한 공사현장에서 공사를 시공, 감독하거나 제조 공정의 관리, 발전, 소전 및 변전시설의 유지관리, 기타 전기시설에 관한 보안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.
진로 및 전망
-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전기부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합니다.
- 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 콘트럴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약형 자동화 기기의 개발, 또 내선 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 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합니다.
실시기관명
한국산업인력공단
종목별 검정현황
연도 |
필기 |
실기 |
||||
응시 |
합격 |
합격률 |
응시 |
합격 |
합격률 |
|
2018 |
44,920 |
12,329 |
27.4 |
30,849 |
4,412 |
14.3 |
2017 |
43,104 |
10,831 |
25.1 |
25,309 |
9,457 |
37.4 |
2016 |
38,632 |
9,085 |
23.5 |
23,089 |
4,676 |
20.3 |
2015 |
33,071 |
8,095 |
24.5 |
18,636 |
3,060 |
16.4 |
*첨부 : 출제기준